본문 바로가기
프로젝트

백화점과 제품 공급업체가 계약을 맺는 방식

by dongR 2021. 7. 2.

1. 특정매입 

: 백화점이 매장을 제공하고 공급업체가 매출액의 10~30%를 백화점에 지급하는 계약 방식 

ex) 백화점에 나이키가 들어와서 매출액의 일부를 백화점에 지급함 

 

2. 직매입

: 백화점이 납품사로부터 상품을 직접 매입해 마진을 책정한 뒤 판매하는 방식 

유통업자가 상품 소유권을 가지게 되므로 판매활동과 재고처리까지 담당한다. 

대표적인 직매입 방식으로 자체 브랜드 상품(PB)이 있다. 

 

3. 임대 갑 

: 유통업체(백화점)가 매장을 임대해주고 월세를 받는 방식으로, 백화점에 있는 음식점이 대표적인 예시 

(음식점이 장사가 아무리 잘되도 백화점 입장에서는 고정된 월세만 받으므로 큰 이득이 없음) 

 

4. 임대 을 

: 공급업체가 매장 임차 보증금을 약간 예치한 뒤, 매출액의 일정 비율을 추가로 백화점에 지급하는 방식 

(임대 관리비 + 판매 수수료) 

 

모르는 용어 정리)

 

PB 상품 : 백화점,마트와 같은 대형 소매상이 자기들 매장의 특성에 맞춰 자체적으로 개발한 브랜드 상품

(대표적인 PB 상품으로 이마트의 노브랜드가 있음) 

참고 : https://md2biz.tistory.com/368

 

마진 : 판매가격 - 매출원가 

 

매출원가 : 최종판매제품을 생산하여 구매자에게 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모든 비용의 합계 

 

ex) 스타벅스 커피를 예시로 들면, 커피원두+커피컵+직원들의 인건비+매장 임차료+매장의 기계관리 비용을 포함하고 있다. 언론에서 말하는 원가는 단순히 커피원두+커피컵의 가격만을 포함한 원재료 가격으로 이야기 하지만 회계학에서 말하는 매출원가는 제품의 판매에 기여하는 모든 직간접적인 비용이 모두 포함된다. 

 

매출원가의 산정 방식) 

1. 제조기업 

: 판매하는 제품을 직접 제조해서 판매하기까지 나오는 비용 

 

ex) 농심그룹이 신라면을 만들어 판매하는 경우의 매출원가를 보면 신라면 생산을 위해 필요한 밀가루,스프,채소 등의 직접재료원가 + 공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임금인 직접노무원가 + 간접적으로 기여하는 요소들의 원가(기계 관리비용,보험료) 

 

2. 상기업

: 완성된 제품을 매입하여 판매하기까지 나오는 비용 

 

ex) 이마트가 농심그룹으로 부터 신라면을 매입하여 소비자들에게 판매하는 과정에서 신라면의 매입원가 + 운송비 + 보관료등이 포함되서 매출원가가 책정됨 

 

3. 서비스업 

: 김밥천국이 이마트에서 사온 신라면을 떡라면으로 조리해서 판매하는 과정까지의 비용

(사온 신라면의 가격 + 떡라면에 들어가는 추가적인 재료 가격 + 라면을 끓이는 직원의 일당 + 매장의 임대료,수도세) 

 

매장 임차 보증금 : 매장을 빌려줄 때 받는 보증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