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99

장바구니 구현하기 - 장바구니 구현에 앞서 대부분의 온라인 쇼핑몰의 장바구니 구매 프로세스를 보면 1. 여러 상품을 서칭 후 마음에 드는 상품을 장바구니에 담는다 2. 장바구니에 넣은 상품들을 주문을 한다(비회원의 경우 로그인을 한 후 주문을 할 수 있도록 함) - 장바구니를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 1. 장바구니 담기를 클릭 시 접속한 해당 비회원의 브라우저에 장바구니를 관리할 쿠키값과 서버의 세션 값이 일치하는 게 없을 경우 비회원 식별 값을 랜덤으로 만들어서 세션에 저장시킨 다음 매칭 되는 쿠키값을 해당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저장시킨다. 2. 장바구니로 들어가게 되면 전에 생성되었던 쿠키값과 서버의 세션 값을 비교해서 해당 비회원의 장바구니 리스트를 가져온다. 단점 : 비회원 고객에 대한 관심상품의 데이터를 얻기가 힘.. 2020. 12. 11.
상품 대댓글 구현하기 해당 상품에 대한 댓글 리스트 가져오기) - 댓글의 작성자를 닉네임으로 보여줄것이기 때문에 User 테이블과 Product_reply 테이블을 조인시켜야됨 2020. 12. 11.
레이아웃 속성(Float) 일단 인라인 과 블록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 하나의 div 가 페이지의 전체 너비(500px)를 혼자 사용함 - 블록태그의 다음에 오는 요소는 자동으로 줄바꿈이 적용됨 대표적인 블록요소(Block Elements) - H1~H6,DIV,Table ..등등 - 블록의 형태지만 인라인으로 보여지게됨 - 각각의 엘리먼트의 너비만큼 공간을 차지하는 방식 - 블록속성이 모두 무효화되고 각 엘리먼트의 텍스트 크기만큼 공간을 차지함(width,height 무시됨) - 대표적인 인라인 태그(button,span,a ..등등) 2020. 12. 10.
1차 DB설계 수정전 전체 DB 모델링) 수정후 전체 DB 모델링) 물리적 DB 모델링) - 회원은 여러 개의 주문을 가질 수 있다(한 명의 회원이 여러 개의 주문서를 가질 수 있음) 1. 로그인 후 장바구니에서 여러 개의 상품들을 한꺼번에 주문할 수 있음(장바구니 특성상 여러 개의 품목들을 장바구니에 넣어놓고 한 번에 주문 가능) ex) 장바구니 테이블에서 해당 회원이 장바구니에 추가한 상품이 있는지 확인 후 여러 개 있을 경우는 리스트로 가져옴 주문번호 - 3번 , 나이키 신발(가격:2000, 수량:10) , 아디다스 신발(가격:3000, 수량:20) 주문번호 - 4번 , 무신사 셔츠(가격:5000, 수량:5) 2. 로그인 후 해당 상품을 보던 도중에 주문을 할 수 있음 ex) 주문번호 - 1번 , 한국사 신발(가.. 2020. 12. 1.
쇼핑몰 프로젝트 기획안 1. DB 모델링 설계 2. 구현할 기능 ( 쇼핑몰의 기본적인 것만 넣기) - 12/31 까지 끝내기 - 회원가입/로그인 (완료) 12/07(월) - 장바구니(비회원,회원) (완료) 12/13(일) - 메인화면 (완료) 12/10(목) - 상품페이지(상품목록,댓글) (완료) 12/11(금) - 주문하기 (완료) 12/19(토) - 결제기능 (완료) 12/19(토) - 마이페이지(주문관련 처리 - 주문확인,환불요청) (완료) 12/29(화) - 마이페이지 (개인정보 수정/부분 환불 요청) (미완료) - 상품등록/상품관리 (완료) 12/07(월) -> 추가할것(이미지파일 여러장등록시 대표썸네일 체크 추가하기 - 완료(12/9) ) - 주문관리 (미완료) - 고객관리 (미완료) - 메인화면(매출현황,주문현황).. 2020. 12. 1.
업로드한 파일 수정 파일을 수정하는 작업에는 여러 가지 경우의 수가 있는데... 대표적인 2가지 방식) 1. 기존에 업로드된 파일은 놔두고 추가로 업로드한 파일이 있을 경우나 수정이 된 해당 파일만 서버에 추가하는 방식 (클라이언트 단에서 삭제 처리된 파일은 서버에서 삭제를 안 함) 2. 클라이언트 단에서 파일을 수정하고 서버에서 기존에 업로드된 파일을 모두 삭제하고 새롭게 파일을 업로드하는 방식 각각의 경우에 장단점이 존재하는데 1번의 경우는 HDD에서 파일을 삭제하지 않기 때문에 HDD에서 해당 파일을 삭제하는데 드는 시간을 줄임으로써 서버의 속도는 빨라지지만 삭제 처리된 파일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용량이 커질 수밖에 없다. 2번의 경우는 HDD에서 해당 파일을 삭제하므로 HDD를 사용하게 되는데 그만큼 서버 쪽에 부담.. 2020. 11. 30.